학력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심리학과 문학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문학석사 (가족상담 전공)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박사 (상담 전공)
[Non-degree Programs]
Exchange doctoral student, School Counseling, Auburn University, Alabama, USA, 2015
경력
[교육경력]
루터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조교수
숭실대학교 상담센터 상담팀 연구교수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초빙교수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직팀 강사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대학원 강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진로진학 전공 강사
[실무경력]
고려대학교 교수학습개발원 학업코치
연세대학교 아동가족상담센터 객원상담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상담연구원
성남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전임상담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진로정보센터 연구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인턴상담원
[자격사항]
상담심리사 1급 제1821호 (한국상담심리학회)
전문상담사 1급 제1050호 (한국상담학회)
청소년상담사 2급, 건강가정사 (여성가족부)
임상심리사 2급 (한국산업인력공단)
MBTI 전문강사 (한국MBTI연구소)
범죄피해평가 전문위원 (경찰청)
[대외활동]
한국상담학회 노인상담분과 사례관리위원회 부위원장 (2024~현재)
한국가족치료학회 교육연수위원회 위원 (2025~현재)
인지발달중재학회 교육이사 (2025~현재)
한국과학수사안전포럼 학술이사 (2024~현재)
한국심리학회 재난심리위원회 자원활동가 (2022~현재)
전, 한국가족치료학회 학술관리위원회 위원
전, 대한적십자사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상담활동가
연구실적
저소득층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2025)
범죄피해평가 학교폭력용 평가도구 제작 연구 (2024)
AI기반 상담심리 활용연구 (2024)
은근한 따돌림은 학교폭력인가?: 은따의 개념적 정의를 위한 문헌 고찰 및 개념도 연구 (2023)
ESG 가치실현을 위한 상담교과목 개발연구 (2022)
상담심리학 학부생의 캡스톤디자인 수강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2022)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 및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 및 또래관계의 이중매개효과 (2021)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정도의 예측변수 탐색: 서비스 이용 아동의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2020)
Fear of Missing Ou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Cognitive Distortion (2019)
장애관련지식, 자아존중감, 공감능력이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2016)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과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 SNS 이용동기의 매개효과 (2016)
초기 청소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2014)
관심분야/프로젝트실적
[연구분야]
소셜미디어, 매체중독, 학교폭력, 가족치료
[프로젝트]
2024 범죄피해평가 학교폭력용 평가도구 제작 연구 (경찰청)
2024 AI기반 상담심리 활용연구 (부산테크노파크)
2023 학교폭력 가해학생 및 보호자 특별교육 프로그램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20~2021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사업 (한국연구재단)
2014~2015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상담연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연구실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