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경력
청량리정신병원 간호사
구로구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간호사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시간강사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시간강사
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시간강사
연구실적
신소연, 황종남, 최슬기, 허종호. (2024). 발달장애인의 보건의료서비스 연구동향: 주제범위 문헌고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63(3), 281-307.
Woo, S., Choi, H., & Shin, S. (2024). Effects of workplace violence on emotional distres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62(4), 24-32.
Shin, S., Choi, H., & Lee, G. (2023). Effects of positive psychotherapy for people with psycho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44(3), 180-193.
Choi, H., Shin, S., Jeon, J., Lee, H., Lee, J., Seo, C., ... & Woo, S. (2023).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d by community mental health worker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44(8), 726-734.(Corresponding author)
Yu, S. Y., Heo, J., Yoon, N. H., Lee, M., & Shin, S. (2022).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after the Korean Mental Health Act revision: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60(8), 27-35.
신소연, 최희승. (2021). 조기정신증 대상자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사례관리 경험: Social Treatment for Early Psychosis 프로그램을 중심으로.?정신간호학회지, 30(2), 193-205.
신소연, 조윤민, 윤난희, 황서은, 황종남, 최정원, ... & 이선구. (2021).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 따른 입원적합성 심사와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경험.?한국보건사회연구,?41(2), 259-277.
Heo, J., Yoon, N. H., Shin, S., Yu, S. Y., & Lee, M. (2021). Effects of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Law revision on schizophrenia patients in Korea: an interrupted time series analysis.?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Systems,?15, 1-8.
신소연, 최희승. (2020). 중증정신질환자의 정신의료기관 이용과 관련된 동료지원 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정신간호학회지,?29(1), 51-63.
관심분야/프로젝트실적
동반 상병이라는 맥락을 고려한 환자 중심 혈압관리 프로그램 개발 (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동연구자)
공공심리지원 전달체계 모형 개발 연구 (2021). 서울특별시 (공동연구자)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 안전· 인권 문제 실태조사 및 매뉴얼 개발 연구 (2021). 국립정신건강센터 (공동연구자)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의 정책 결정 과정 분석 연구 (2021). 대한신경정신의학회 (공동연구자)
정신건강복지법'에 따른 비자의입원 제도와 입원적합성 심사위원회 제도 시행의 영향평가 연구 (2020). 국립정신건강센터 (공동연구자)
정신보건법 개정을 통한 정신질환자의 비자의입원 요건 강화 정책이 탈수용화 및 환자 인권에 미친 영향 (2019). 국립정신건강센터 (공동연구자)
연구실소개